지난 2011년 5월, 백악관이 공개한 사진 한 장입니다. 오사마 빈라덴 사살 작전이라는 그 사안의 무게를 떠나 우리 시선을 끈 것이 하나 있습니다. 바로 한쪽 구석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 '대통령의 자리'입니다. 가장 큰 의자는 이 작전을 지휘하는 합참의장에 내어줬습니다. <br /> <br />회의장 한가운데 놓인 가장 크고 가장 높은 의자에 앉아 있는 것이 국민이 바라는 대통령의 모습은 아닐 겁니다. 의자의 크기, 의자의 배치, 그리고 위치보다 중요한 건 그곳에서 앉아서 어떤 일을 하느냐, 그리고 얼마나 잘 해내느냐일 겁니다. 민심이 빚어낸 자리,국민의 선택을 기다리는 후보자들 모두 오늘만큼은 이 자리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봤으면 좋겠습니다. <br /> <br />대통령의 자리를 빚어내는 민심 에너지, 현재 전국 250개 지역에서 충전 중입니다. 오후 5시 현재 민심, 얼마나 충전됐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. 전국적으로 투표율 73.6%의 에너지가 채워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 현재 권역별로 투표율이 가장 높은 곳과 가장 낮은 곳을 한번 비교해 볼게요. 가장 높은 권역 보겠습니다. 최고 투표율을 기록하고 있는 곳 광주 전라 권역입니다. 78.6% 투표율을 기록하고 있고요. 가장 낮은 권역은 강원, 제주 지역입니다. 71.8%의 투표율입니다. <br /> <br />이 권역을 한 번에 비교해 보겠습니다. 서울, 경기, 인천, 대전 세종 충청 그리고 쭉 강원, 제주까지 모두 70%를 웃도는 투표율을 보이고 있습니다. 하지만 이 투표율이 높다고 해서 더 많은 사람이 투표를 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. 투표율은 유권자 수 대비 투표장에 간 사람들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죠. 지역별로 유권자 수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인구가 많은 지역은 투표율이 낮다고 해도 인구가 적은 지역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사람이 투표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실제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투표장으로 향했는지 살펴볼까요? 먼저 권역별로 표시된 이 사각형이 전체 유권자의 크기입니다. 보시다시피 서울과 경기, 인천 지역의 그래프가 크죠. 전체 유권자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있습니다.투표율은 이 막대가 투표를 마친 사람들로 채워진 비율을 의미합니다. <br /> <br />권역별로 얼마나 많은 유권자가 투표장으로 향했는지 막대를 색깔로 채워서 확인해보겠습니다. 실제로 투표를 마친 유권자들이 이렇게 막대를 채웠습니다. 권역별로 투표를 마친 사람의 수가 다르죠? 서울 권역의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지선 (sun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309171452126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